PLEX
HOME > 신기술공법 > PLEX
공법의 특성
국토해양부 신기술 476호로 지정된 프렉스 복합방수공법은 기존의 복합방수공법의 최대 단점으로 지적되어 온 방수층의 품질과 성능상의 불균일을 제공하는 높은 작업자 의존성 및 공사기간의 장기화 문제를 도막-보강재-적층재로 구성되는 도막-시트 일체화 방수재를 적용함으로서 해소하였으며 방수시공 및 성능상의 취약부인 접합부, 모서리부, 드레인부 등에 독립적인 기술을 개발 적용함으로서 공법적 안정성과 향상된 방수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.
특히, 접합부는 방수 시공 및 성능유지 상 하자발생이 빈번한 부위로서 안정적 방수성능 유지를 위해 시공 작업자의 높은 기술 숙련도가 요구되는 부위로 프렉스 복합방수공법에서는 점/접 착 방지기술을 통해 기본적으로 열풍융착이 곤란한 감온성 재료에 대해 용융-융합의 접합기술을 적용하여 작업 중 발생 가능한 미약한 접합 부족의 문제를 보완적 효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.
공법의 특징
1. 복합방수층의 공장생산 기술 적용으로 균일한 방수품질
- 도막-시트로 구성되는 복합방수층을 엄격한 품질관리 하에 공장생산 방식의 일체화 구조로 형성하기 때문에 복합방수층의 품질이 균일하면서도 우수하다.
2. 일체구조에 의한 시공효율성 극대화(공사기간 단축)
- 1회 시공의 복합방수층 설치 방식으로 2~3회의 현장 도막공정이 생략되어 공정이 단순하고 작업자 의존도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시공효율성 및 시공품질 확보가 우수하다.
3. 조인트 방수안정성(수밀성) 극대화
- 하자발생이 빈번한 조인트 부위에 용융-융합의 접합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수밀성 및 방수안전성 확보가 우수하다.
4. 취약부위 방수안정성 극대화
- 모서리와 드레인 부위 등 고질적 방수 취약부위에 대해 절연형 모서리보강재 및 일체형 드레인의 독립기술을 별도 개발 적용하여 방수안정성 확보가 우수하다.
5. 유지관리의 편리성
- 시트층의 주 재료인 감온성 아스팔트는 미세 손상에 대한 자가치유 성능이 있으며, 부분보수 및 육안에 의한 하자 발생부분 발견이 용이하다.
6. 현장 작업자 의존도 최소화
- 도막-시트 일체구조 생산과 조인트 용융-융합 기계화 시공은 현장 작업자 의존도를 최소화하여 방수품질 및 성능상의 불균일 해소가 가능하다.
재료목록
품 명 | 규 격 | 비 고 |
---|---|---|
아스팔트 프라이머 | 18L/can | 바닥 및 벽체용 프라이머 |
프라이머 | 17kg/can(a+b) | 바닥 및 벽체용 프라이머 |
프렉스 일체형복합시트 | T=3.0mm, 1m x 10m/roll | 노출형 : 복합시트 (시트 + 도막) |
프렉스 일체형복합시트 | T=2.0mm, 1m x 10~15m/roll | 비노출형 : 복합시트 (시트 + 도막) |
스타 씰 A | 12kg/pail(a+b) | 보강용 씰링재 |
스타 랩 | 0.1m x 100m/roll, W=35, 70mm | 보강용 테이프 |
스타 우레씰 A | 21kg/can(a+b) | 바닥 접착용 |
일체형 복합도막재 | 21kg/can(a+b) | 도막방수재 |
스타 탑 A | 18kg/can(a+b) | 보호 탑코팅 |
스타필름 | L=0.2mm, W=100, 150mm, L=50 | 코너보강용 |
탈기반 | Ø180mm, T 12mm | 탈기시스템(시공비별도) |
탈기관 | Ø75mm, H 250mm | – |
방수층의 구성
노출 복합 방수층 구성도

비노출 복합 방수층 구성도

방수층 상세도
노출공법 (SF-I 공법)
단면도

설치도

노출공법 (SF-II 공법)
※ 노출공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현장 여건에 따라 치켜 올림을 할 수도 있다.
단면도

설치도

비노출공법
※ 비노출공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현장 여건에 따라 치켜 올림을 할 수도 있다.
※ 비노출공법 적용시 방수 보호재 및 보호층은 시공비 별도임.
단면도

설치도

시공순서
1. 바탕정리

- 코너, 모서리 부분을 정리한다.
- 불순물, 레이턴스 등을 제거한다.
- 드레인 관통파이프 등의 주변을 정리한다.
- 쇠흙손 또는 고름 몰탈(별도)
2. 프라이머 도포

- 바탕면은 비노출공법의 경우 붓 또는 롤러로 도포처리하며 노출공법은 가장자리 부분과 선형 부분접착 붓 또는 롤러로 도포처리한다.
- 파라펫은 도막재 또는 시트재가 적용된 부분에 전면 도포한다.
3. 프렉스 일체형 복합시트 설치

- 슬라브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한 다음 하부에서 상부 쪽으로 시공한다.
- 시공시 바탕면과 비슷한 굴곡 및 경사도를 가지도록 일체형 복합시트를 시공한다.
- 조인트 접착은 자착식으로 압착처리 하거나 열 융착처리한다.
4. 조인트 처리작업

- 노출공법의 경우에는 시트 일면에 연장 형성된 보강날개 부위를 실링처리하여 2차 수밀처리 한다.
5. 칼라 탑코팅

- 노출공법의 경우에는 사용 전 자동믹서기로 교반한 다음 롤러, 붓 등으로 균일하게 도포한다.
시공상세도
옥상 바닥층의 방수공사

드레인 주변



화단

지하외방수

본사 :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1길 25 H비즈니스파크 A동 511-515호
공장 :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84-12
02-2201-7870
02-2201-7888
서울 송파구 법원로 11길 25 H비즈니스파크 A동 511-515호 |
![]() ![]() |